기사 바로가기
📌전문을 보시려면 기사 바로가기를 확인해 주세요
환경까지 고려한 포괄적인 역학조사가 필요
일부 고양이 사료에 대한 안정성 논란이 커뮤니티와 SNS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고양이 보호단체 라이프와 묘연을 중심으로 고양이 급성질환 관련 제보는 매일 5건에서 10건 사이로 고양이 피해가 누적되면서 지난 29일까지 피해가정은 257가구, 피해 고양이는 428두, 사망은 142두로 집계되고 있다. 라이프 관계자는 “제보되는 피해 고양이들중에 특정사료를 급여한 아이들 위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며 사료가 원인임을 확신하고 정부의 적극적이고 신속한 조사와 발표를 요청하고 있다. 특히 두 단체가 지목한 사료에 대한 정보가 SNS나 일부 고양이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되면서 다수의 애묘인들에게는 ‘스페시픽 캣푸드 포비아’ (specific catfood pobia) 형태로 발전하여 불안과 공포감을 심어주고 있다.
하지만 본지에서 확인결과 급성 고양이질환으로 문제되는 사료브랜드는 해당 단체에서 언급하는 사료 이외에 다른 국내외 사료를 먹고 무기력 증상(신경·근육병증)이 여럿 발생하면서 특정사료가 원인이라는 주장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한달동안 몇몇 고양이 커뮤니티와 SNS에 표면화되어 올라온 내용을 바탕으로 급성질환증상을 보이고 있는 고양이와 관련된 게시글을 수집하고 분석을 하였다. 하지만 논란이 되는 사료가 아닌 다른 국내외 사료를 먹고 있는 고양이 80여마리도 비슷한 증상으로 고통받고 있었다.
해당 고양이 단체의 “문제로 지목된 사료에 비해 다른 사료들은 발생하는 빈도가 낮아 의미가 없다”라는 목소리로만 치부하기에는 사료를 불문하고 ‘무기력’ 증상의 고양이가 짧은 기간에 너무 많이 발생했다는게 이번 문제의 본질이다.
수의대 졸업 후 줄곧 한 회사에서 25년간 수입사료를 담당해온 수의사는 이번 문제에 대해 사료의 생산과 제조 공정은 원인은 아닌 것 같다며 지목되고 있는 회사는 하루에 수십 톤을 생산하고 있는데 생산량 대비 문제되는 사례가 현저히 낮으며 과학적인 측면에서 식품매개질병(Foodborne Illness)의 전형적 패턴과는 좀 다르다고 하였다. 그리고 3월말부터 4월이라는 특정기간에 갑자기 고양이 급성질환이 발현되고 있는 상황에서 ‘환경’에 초점을 두고 포괄적인 역학조사가 필요하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한 동물병원 수의사는 '이러한 증상이 과거에 없었던 것도 아니며, 무리하게 공통된 원인을 찾으려 하는 것보다 각각의 고양이에 대한 병력청취와 임상검사를 통한 개체별 적극적 치료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조심스러운 의견을 피력하기도 하였다.
고양이 사료가 원인이 아니라는 정부 기관의 공식적인 발표에도 불구하고 고양이 관련 커뮤니티와 SNS를 통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문제로 지목된 사료 제조 회사도 공식적인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번 사건이 불거졌을 때 즉각적인 대응이 없었던 부분에 대해서는 정부 기관의 검사와 별개로 신뢰를 확보하고자 자체적으로 정밀검사를 진행하게 되면서 검사 결과가 늦게 나와 초기대응을 하지 못했으며 최근 검사 결과를 통해 문제가 없는 것을 재확인하고 적극적인 방법으로 대응을 할 예정이라고 전하고 있다.
고양이 발병 원인이 아직도 오리무중인 상태에서 건국대학교 수의대학의 박희명 교수가 ‘최근 국내 발생하는 고양이 신경-근육질병의 진단 및 치료’라는 주제의 웨비나 교육이 5월 8일 예정되어 있어 수의사 뿐만 아니라 애묘인과 사료업계 관계자들의 관심이 집중될 예정이다.
출처: 애견신문사 & www.koreadognews.co.kr
기사 바로가기
📌전문을 보시려면 기사 바로가기를 확인해 주세요
환경까지 고려한 포괄적인 역학조사가 필요
일부 고양이 사료에 대한 안정성 논란이 커뮤니티와 SNS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고양이 보호단체 라이프와 묘연을 중심으로 고양이 급성질환 관련 제보는 매일 5건에서 10건 사이로 고양이 피해가 누적되면서 지난 29일까지 피해가정은 257가구, 피해 고양이는 428두, 사망은 142두로 집계되고 있다. 라이프 관계자는 “제보되는 피해 고양이들중에 특정사료를 급여한 아이들 위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며 사료가 원인임을 확신하고 정부의 적극적이고 신속한 조사와 발표를 요청하고 있다. 특히 두 단체가 지목한 사료에 대한 정보가 SNS나 일부 고양이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되면서 다수의 애묘인들에게는 ‘스페시픽 캣푸드 포비아’ (specific catfood pobia) 형태로 발전하여 불안과 공포감을 심어주고 있다.
하지만 본지에서 확인결과 급성 고양이질환으로 문제되는 사료브랜드는 해당 단체에서 언급하는 사료 이외에 다른 국내외 사료를 먹고 무기력 증상(신경·근육병증)이 여럿 발생하면서 특정사료가 원인이라는 주장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한달동안 몇몇 고양이 커뮤니티와 SNS에 표면화되어 올라온 내용을 바탕으로 급성질환증상을 보이고 있는 고양이와 관련된 게시글을 수집하고 분석을 하였다. 하지만 논란이 되는 사료가 아닌 다른 국내외 사료를 먹고 있는 고양이 80여마리도 비슷한 증상으로 고통받고 있었다.
해당 고양이 단체의 “문제로 지목된 사료에 비해 다른 사료들은 발생하는 빈도가 낮아 의미가 없다”라는 목소리로만 치부하기에는 사료를 불문하고 ‘무기력’ 증상의 고양이가 짧은 기간에 너무 많이 발생했다는게 이번 문제의 본질이다.
수의대 졸업 후 줄곧 한 회사에서 25년간 수입사료를 담당해온 수의사는 이번 문제에 대해 사료의 생산과 제조 공정은 원인은 아닌 것 같다며 지목되고 있는 회사는 하루에 수십 톤을 생산하고 있는데 생산량 대비 문제되는 사례가 현저히 낮으며 과학적인 측면에서 식품매개질병(Foodborne Illness)의 전형적 패턴과는 좀 다르다고 하였다. 그리고 3월말부터 4월이라는 특정기간에 갑자기 고양이 급성질환이 발현되고 있는 상황에서 ‘환경’에 초점을 두고 포괄적인 역학조사가 필요하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한 동물병원 수의사는 '이러한 증상이 과거에 없었던 것도 아니며, 무리하게 공통된 원인을 찾으려 하는 것보다 각각의 고양이에 대한 병력청취와 임상검사를 통한 개체별 적극적 치료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조심스러운 의견을 피력하기도 하였다.
고양이 사료가 원인이 아니라는 정부 기관의 공식적인 발표에도 불구하고 고양이 관련 커뮤니티와 SNS를 통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문제로 지목된 사료 제조 회사도 공식적인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번 사건이 불거졌을 때 즉각적인 대응이 없었던 부분에 대해서는 정부 기관의 검사와 별개로 신뢰를 확보하고자 자체적으로 정밀검사를 진행하게 되면서 검사 결과가 늦게 나와 초기대응을 하지 못했으며 최근 검사 결과를 통해 문제가 없는 것을 재확인하고 적극적인 방법으로 대응을 할 예정이라고 전하고 있다.
고양이 발병 원인이 아직도 오리무중인 상태에서 건국대학교 수의대학의 박희명 교수가 ‘최근 국내 발생하는 고양이 신경-근육질병의 진단 및 치료’라는 주제의 웨비나 교육이 5월 8일 예정되어 있어 수의사 뿐만 아니라 애묘인과 사료업계 관계자들의 관심이 집중될 예정이다.
출처: 애견신문사 & www.koreadognews.co.kr